du 사용법 - linux 디렉토리 용량 확인 리눅스에서는 디렉토리에서 사용하는 용량을 알아내기 위해 du라는 명령어를 쓴다. $ du를 실행시키면 현재 디렉토리에 존재하는 다른 디렉토리들과 그에 해당하는 크기(KB 단위)을 표시한다.출력된 결과의 마지막 줄은 subdirectory들을 포함한 전체 크기를 나타낸다. $ du -h위의 실행결과와 같지만 -h는 사람이 읽기 조금 더 친숙한 표현으로 출력한다. $ du -ch | grep total디렉토리의 전체 용량(subdirectory 포함)만 확인하고 싶다면 위의 명령어를 실행시키면 된다. $ du -s위와 같은 결과를 출력하지만, 'total 1234' 대신 '.1234'와 같이 출력한다. 더보기 [Postgres] psql로 모든 database와 table 보기 mysql만 사용하다가 Postgres를 배우려니 이래저래 다른 것들이 많다. psql이라는 command line tool로 postgres DB에 접속한 상태에서, DB의 내용을 보고싶다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된다. \list는 전체 데이터베이스 나열, \dt는 전체 table들을 나열한다. 물론, 현재 접속한 psql의 계정에서 볼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들의 내용만 보이게 된다. 더보기 .pem을 .ppk로 변환하기 WinSCP에서 AWS EC2로 접속하기 위해서는 .ppk 파일이 필요하지만 EC2에서는 .pem파일을 제공한다. .pem은 "Private Enhanced Mail"로, putty에서는 .pem파일을 사용할 수 없다. 따라서, 이를 .ppk로 바꾸기 위해서는 puttygen이라는 툴을 사용하면 된다. 다운로드 링크:http://www.chiark.greenend.org.uk/~sgtatham/putty/download.html 사용법:1. Puttygen을 실행한다.2. 메뉴의 "Conversions"에서 "Import key"를 선택한다.3. 창이 뜨면 .pem파일을 선택하고 "open"으로 연다.4. comment라고 된 부분을 "imported-openssh-key"에서 "my-server-1"과.. 더보기 이전 1 ··· 4 5 6 7 8 9 10 ··· 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