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Linux/명령어

리눅스 시간대 변경 AWS EC2 linux instance를 사용하다보면 availability-zone과 상관없이 시각이 전부 UTC 기준으로 맞춰져있어 불편할 때가 있다. 이를 다음의 명령어로 한국 표준 시간대로 변경한다. sudo rm /etc/localtime sudo ln -s /usr/share/zoneinfo/ROK /etc/localtime 이 때, /usr/share/zoneinfo 아래에 원하는 지역(이 경우 ROK)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더보기
du 사용법 - linux 디렉토리 용량 확인 리눅스에서는 디렉토리에서 사용하는 용량을 알아내기 위해 du라는 명령어를 쓴다. $ du를 실행시키면 현재 디렉토리에 존재하는 다른 디렉토리들과 그에 해당하는 크기(KB 단위)을 표시한다.출력된 결과의 마지막 줄은 subdirectory들을 포함한 전체 크기를 나타낸다. $ du -h위의 실행결과와 같지만 -h는 사람이 읽기 조금 더 친숙한 표현으로 출력한다. $ du -ch | grep total디렉토리의 전체 용량(subdirectory 포함)만 확인하고 싶다면 위의 명령어를 실행시키면 된다. $ du -s위와 같은 결과를 출력하지만, 'total 1234' 대신 '.1234'와 같이 출력한다. 더보기
find 명령어 사용법 (linux 파일 찾기 명령어) 특정 디렉토리에서 sub-directory의 내용을 포함하여 특정 파일이름을 찾을 경우: find (디렉토리) -name '(파일이름)' ex) $ find / -name 'index.html'의 명령어는 모든 디렉토리를 검사하여 index.html이라는 파일을 찾는다. *조건 주기(용량)$ find /mp3 -name '*.mp3' - size -5000k/mp3 디렉토리 에서 파일명이 .mp3로 끝나고 용량이 5000k 이하인 파일들을 찾는다. $ find /mp3 -name '*.mp3' - size +5000k/mp3 디렉토리 에서 파일명이 .mp3로 끝나고 용량이 5000k 이상인 파일들을 찾는다. *조건 주기 (시각)$ find /mp3 -amin -10 -name '*.mp3'10분 이내로 .. 더보기
grep 사용법 흔히 grep은 다음과 같이 ls나 ps 같은 명령어들과 같이 써서 원하는 문자열을 찾는데 사용된다.$ ps -ef | grep httpd=> httpd를 포함하는 이름을 갖는 프로세스를 출력한다. grep은 특정 문자열이 포함된 파일을 찾는데도 사용할 수 있다.$ grep "apple bee" /home/jin/*.txt위의 명령어는 /home/jin 디렉토리에 있는 모든 .txt 파일들 중 'apple bee' 문자열을 포함하는 파일과 내용을 출력한다. -r 옵션은 하위 디렉토리도 검색한다.$ grep -r "apple bee" .위 명령어는 현재 디렉토리 아래에 있는 모든 디렉토리를 포함하여 검색한다. 파일에 포함된 문자열이 아닌 파일이름만 보고싶다면 다음과 같이 cut을 한다:$ grep "app.. 더보기
scp 사용법 일반적인 사용법(단일 파일 복사):#> scp (source file/dir) (id)@(address):(dest. directory)ex) scp test.tar.gz myid@192.168.1.123:~/Download 디렉토리 복사:#> scp -r (후략)*참고로 cp의 경우 #> cp -R ... 로 디렉토리를 복사한다. 더보기